새로운 도시가 만들어지는 건 생각보다 복잡해요. 계획대로 딱딱 진행되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거든요. 특히 광명시흥 3기신도시처럼 엄청 큰 신도시는 중간중간 일정이 바뀔 수 있어요.
광시신도시 분양과 입주를 기다리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 중심으로, 정부와 LH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쉽게 정리했어요.
광시신도시 분양, 입주는 언제쯤될까?
정부와 LH에서는 분양은 2029년, 입주는 2031년으로 계획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건 '목표'일 뿐이에요. 실제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늦어질 수 있거든요.
시나리오 1: 계획대로 진행되는 경우
분양: 2029년, 입주: 2031년
이건 정부에서 발표한 공식 목표예요. 모든 게 계획대로 진행돼야 가능해요.
시나리오 2: 약간의 지연이 있는 경우
분양: 2029년, 입주: 2031~2033년
분양은 계획대로 되지만, 아파트 짓는 과정에서 약간 늦어지는 경우예요. 커뮤니티에서도 이 정도가 가장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많아요. 왜냐하면 분양 후 아파트를 짓고, 도로나 전기 같은 기반시설까지 완전히 갖추려면 보통 2~4년 정도 걸리거든요.
시나리오 3: 상당한 지연이 있는 경우
분양: 2029~2030년, 입주: 2033년 이후
땅 보상이 예상보다 오래 걸리는 경우예요. 실제로 관련 커뮤니티를 보면 "보상 협상이 생각보다 복잡할 것 같다", "건설비도 계속 오르고 있어서 지연될 수 있다"는 의견들이 많아요.
현실적으로 어떨까요?
정부 목표는 2031년이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과 관심 있는 분들은 시나리오 2 정도(2031~2033년)를 가장 현실적으로 보고 있어요.
어떤 순서로 진행되냐면요. 먼저 땅 주인들한테 보상금을 주고 → 택지 조성 → 분양 → 아파트를 짓고 → 입주하는 거예요. 이 과정에서 어느 하나라도 늦어지면 전체 일정이 밀리게 되죠.
착공부터 입주까지 전체 일정은?
- 2024년12월 — 지구계획 승인(국토부)
- 2025년 — 토지 보상 공고·보상 절차 시작
- 2027년 — 택지 착공 목표
- 2029년 — 첫 분양 목표
- 2031년 — 최초 입주 목표
이 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토지 보상이에요. 신도시를 짓기 위해서는 그 땅에 있는 집, 가게, 농장 등을 모두 정리해야 하거든요. 땅 주인들과 "얼마에 사겠다"고 협상하고, 실제로 돈을 주고, 이사 가시길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해요. 이 과정이 생각보다 오래 걸려요.
어떤 단지가 먼저 분양·입주하나요?
보통 지하철역 근처나 큰 도로 옆에 있는 곳부터 먼저 지어져요. 그리고 학교나 마트 같은 편의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곳도 우선순위가 높아요.
왜냐하면요. 사람들이 "여기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곳부터 먼저 만들어야 분양도 잘 되고, 입주자들이 불편하지 않거든요.
광시신도시도 마찬가지일 거예요. 교통이 편리하고 생활하기 좋은 곳부터 순서대로 지어질 것 같아요.
다만, 정확히 어떤 단지가 먼저인지는 나중에 LH에서 "이 단지부터 짓겠다"고 발표해야 알 수 있어요. 지금은 아직 전체적인 계획만 나와 있거든요.
입주가 지연될 가능성은?
네, 늦어질 가능성은 충분해요. 큰 신도시일수록 중간에 여러 문제들이 생기거든요.
토지 보상이 늦어지는 경우
이게 제일 큰 문제예요. 광명·시흥은 정말 큰 지역이라서, 그 안에 있는 집, 가게, 공장들이 엄청 많아요. 땅 주인들과 "얼마에 사겠다"고 하나하나 다 협상해야 하는데, 이게 시간이 오래 걸려요.
보상금에 동의하지 않는 분들도 계시고, 법적으로 따져야 하는 경우도 있고요. 이런 게 하나둘씩 쌓이면 전체 일정이 밀리게 돼요.
건설비나 인건비가 오르는 경우
요즘 건설비가 많이 올랐잖아요? 그리고 일할 사람을 구하기도 어려워졌고요. 이런 것들 때문에 공사가 늦어질 수 있어요.
정부나 지자체 승인이 늦어지는 경우
도로 연결, 지하철 연결, 환경 문제 등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정부 승인이 늦어질 수도 있어요.
상황별 준비 방법
청약 준비하시는 분들은 사전청약을 할지 말지 아직 확실하지 않아요. 그래서 일단 본청약 준비를 기본으로 하세요. 청약통장 납입 횟수, 무주택 조건, 거주지 조건 등을 미리 챙겨두세요.
투자 목적이신 분들은 2031년 입주는 목표일 뿐이에요. 중간에 늦어질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두세요.
댓글 쓰기